포스테키안 타일형 리스트형 최신호 보기 지난호 보기 전체 전체 제목 내용 검색 2020 겨울호 / Creative Postechian 가장 재미있는 일은 바로 내가 하고 싶은 일이지 안녕하세요, 창의IT융합공학과 19학번 정윤성입니다. 저는 현재 학업과 더불어 다양한 학생 활동을 통해 경험을 쌓으며 관심 분야에 대해 알아가고 있는 학생입니다. 언뜻 보면 창업이나 개발을 하시는 다른 분들에 비해 평범해 보일 수 있지만, 자발적으로 제가 좋아하는 일을 한다는 점에서는 그런 분들과 다르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2021-01-194 2020 겨울호 / Hello Nobel (2020 노벨 물리학상) 블랙홀의 존재를 증명한 3명의 과학자 Sir Roger Penrose x Reinhard Genzel x Andrea Ghez 2020년 노벨 물리학상은 일반상대성이론이 예측한 블랙홀의 존재를 수학적인 방법을 통해 입증한 로저 펜로즈 영국 옥스퍼드대 교수와 실제로 블랙홀을 관측한 라인하르트 겐첼 미국 버클리대 교수, 앤드리아 게즈 UCLA 2021-01-194 2020 겨울호 / 최신 기술 소개 Latest Technology – ① 늘어나는 배터리로 작동하는 독립형 전자 장치의 개발 연신성 전자 장치 플랫폼 ⓒ포스텍 POSTECH https://url.kr/xps7mP 여러분, 웨어러블 전자 기기에 대해 들어보셨나요? 웨어러블 기기가 만들어지기 위해서는 늘어났다 줄어들 수 있는, 연신성 전자 소자의 개발이 필요합니다. 하지만 연신성 배터리와 연신성 2021-01-195 2020 겨울호 / 포스텍 연구소 탐방기 포스텍 연구소 탐방기 미래도시연구센터 FOIC, Future City Open Innovation Center 도시는 많은 사람이 모여 살면서, 사회·경제·정치 활동의 중심이 되는 곳이다. 문명 발전의 단계마다 그 시대가 요구하는 도시가 출현하였다. 고대의 농업 도시, 중세의 상업 도시, 그리고 18세기 후반 산업 혁명 이후의 공업 도시 등으로 시대에 따라 그 기능과 모습 2021-01-196 2020 겨울호 / 세상찾기 ① 생각 한번 더 할 시간에 실행을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테키안에 글을 쓰게 된 17학번 전자전기공학과 이창호입니다. 3년 전 새내기 특집 포스테키안에 글을 한 번 써보고 이번에 두 번째로 써보는 것인데요. 지난 3년의 세월 동안 제가 어떤 경험을 했고 어떤 생각을 했는지 같이 이야기하는 시간을 갖고자 합니다. 여러분은 아이디어와 실행 중 무엇이 더 중요하다고 생각하시나요? 2021-01-194 2020 겨울호 / 세상 찾기 ② 비대면의 한계를 이겨내다 POSTECH 온라인 멘토링 안녕하세요, 2020 POSTECH 온라인 멘토링에서 과학실험 프로그램 ‘와글와글 과학’을 기획한 SIRl팀 팀장 조예은입니다. 이번 멘토링에 참여하면서 느낀 것들을 여러분과 나누고 싶어요. 여러분은 대학에서 주최하는 멘토링이나 캠프에 참여해 보신 적이 있나요? 저는 고등학교 때 운 좋게 이러한 행사들에 참여했습니다. 그 2021-01-194 2020 겨울호 / 포동포동 자유롭게 음악을 즐기는 동아리 GT LOVE 안녕하세요! 포스텍 버스킹 동아리 GT LOVE의 회장을 맡은 정혜빈입니다. 설레는 대학 생활에서 자유롭게 즐길 수 있는 동아리를 찾고 계신가요? 여러분의 대학 생활에 기분 좋은 활력소가 될 GT LOVE를 소개합니다! GT LOVE는 어떤 동아리인가요? GT LOVE는 음악을 사랑하는 사람들이 모여 자유롭게 음악을 즐기는 포 2021-01-194 2020 겨울호 / 웹툰 화학공학과 19학번 박서연 2021-01-193 2020 겨울호 / 문화 거리를 걷다 내가 아닌 다른 누군가가 되어 보다 흔하지 않은 나의 취미 소중한 취미는 학업에 지친 포스테키안들에게 재미와 활력을 가져다줌으로써 삶의 안정감과 새로운 원동력을 제공해줍니다. 그리고 이 글을 통해 여러분께 제 소중한 취미를 소개하려고 합니다. 다양한 사람들을 접하며 새로운 인연을 만들어 갈 수도, 모델처럼 다양한 포즈를 생각해낼 수도, 멋진 사진을 찍어 소중한 순간을 남길 2021-01-193 2020 겨울호 /Science black box 우연과 행운의 과학적 발견 세렌디피티 Serendipity 여러분은 인생을 바꾼 우연의 일치를 경험해 보신 적이 있으신가요? 과학자 대부분은 하나의 결과를 도출해 내기 위해서 오랜 시간 동안 공부하고, 실험을 계획하지만, 때로는 우연과 행운만으로 인류에 큰 도움이 되는 발견을 한 경우가 있는데요. 1세렌디피티(Serendipity)는 영국의 18세기 문필가였던 호레이스 월 2021-01-195 First Page12345678910NextLast Page 2020년 2020년 2019년 2018년 2017년 2016년 2015년 2014년 2013년 2012년 2011년 2010년 2020년 [169호] 겨울호 주요 기사들 기획특집_가상 인간 / 알리미가 만난 사람 _인터렉티브 디벨로퍼, 김종민님 / 포스텍 프리뷰_강석형 교수님 2021-01-180 2020년 [168호] 가을호 주요 기사들 기획특집_우주 탐사 / 알리미가 만난 사람 _김무환 총장님과의 만남 / 포스텍 연구소 탐방기_의료기기혁신센터 2020-10-200 2020년 [167호] 여름호 주요 기사들 기획특집_빅데이터 기술, 미래의 선거 / 포스트 잇_에드믹바이오 대표이사 / 포스텍 연구소 탐방기_지능로봇연구센터 2020-07-270 2020년 [166호] 봄호 주요 기사들 기획특집_코로나19 / 알리미가 만난 사람_닥터프렌즈와의 만남 / 학과탐방_생명과학과, 물리학과 / 포스텍 연구소 탐방기_세포막단백질연구소 2020-05-130